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조선의 서민 전용 술집 색주가

청와대 행정관 성매매·장자연 자살 사건으로 살펴본 술과 접대의 역사
등록 2009-05-07 02:10 수정 2020-05-02 19:25
김홍도의 <주막>

김홍도의 <주막>

인간은 왜 술을 마실까? 인간의 모든 행위는 대개 합리적이거나 특별한 이유가 있을 때 이뤄진다. 인간이 술을 찾게 되는, 또는 술에 끌리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편적으로 인간은 기쁠 때나 슬플 때, 화날 때, 우울할 때, 스트레스를 받을 때, 죄의식을 느끼고 이 죄의식을 잊으려 할 때, 어려운 일에 부딪쳐 이를 극복하려고 할 때 등의 상황에서 술을 마시고 싶어한다. 그리고 특수적한 예로, 제례나 의식을 주도하거나 참여할 때는 본인의 의지와 선호에 관계없이 술을 마시게 된다. 물론 술을 탐닉한 결과이기는 하지만, 알코올중독 때문에 더욱 술을 찾기도 한다. 그리고 한국적 특수성을 하나 더 보탠다면 접대 때문에 술자리가 마련되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청탁·뇌물·성매매 등이 본질을 이루고 술 자체는 부차적인 의미를 갖는다.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술을 마셨을까? 삼국시대 이전 부족국가 시대에는 식량이 부족해 제천의식을 거행할 때만 마을 위로 술을 빚어 음주와 가무를 즐겼다. 개인이 술을 빚게 된 것은 삼국시대 귀족층에서였다. 그리고 삼국시대 후기에 오면 김유신과 천관녀의 이야기, 원효대사의 이야기 등에서 보듯 전문 술집도 등장했다. 고려시대에는 술을 금지하는 불교 계율 때문에 일반 서민들은 술을 마실 기회가 거의 없었지만, 원나라로부터 증류법이 전해져 왕실과 문무 귀족층은 오히려 소주 등 더 다양한 술을 즐겼다. 그리고 팔관회를 빙자해 절에서 여승들이 술을 빚어 팔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제례에 술이 필수적이었으므로 사대부들뿐만 아니라 서민들에게도 술을 마실 기회가 많이 늘었다.

단지 술을 파는 것을 넘어 술 마시는 남자들을 시중들기 위해 여자가 술자리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조선시대다. 양반층에게는 일정한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술시중을 드는 기생이 있는 기방이 있었고, 일반 서민들에게는 여자가 나와서 노래를 부르고 아양을 떨며 술을 파는 색주가가 있었다. 기방은 고급 술집이었지만, 색주가는 여자만 있다뿐이지 안주도 술도 맛없는 곳으로 손님들에게 바가지를 씌우기 일쑤였다고 한다. 기생은 가곡이나 시조를 부르지만, 색주가의 여자는 오직 잡가만 불렀다. 기생은 일종의 연예인으로 정분이 난 특정인이 아니면 잠자리를 같이하지 않았지만, 색주가의 작부는 장삼이사 취객들의 요구에 따라 성매매도 하는 신산한 삶을 살았다.

색주가는 한양의 홍제원(지금의 홍제동)에 집단적으로 있었고, 뒤에 남대문 밖과 파고다공원 뒤에도 생겼다고 한다. 뒤 두 지역의 색주가는 근래에까지 이어져 이른바 ‘양동’과 ‘종삼’의 집창촌이 되었다. 색주가는 밖에서 보면 금방 알 수 있었다. 색주가 문 앞에는 술을 거르는 도구인 용수에 갓모(비가 올 때 갓 위에 덮어쓰는 모자)를 씌워 긴 나무에 꽂아 세우고, 그 옆에 자그마한 등을 달아놓았다. 그러므로 밤이 되면 색주가가 있는 동네는 붉은 등으로 온통 뒤덮이게 되어 ‘홍등가’가 된다. 낮에는 나무에 용수 씌운 것으로 표시를 한다. 용수와 갓모는 각각 남자와 여자의 성기를 은유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색주가 사장님들의 홍보 마인드가 흥미롭다.

얼마 전 청와대 행정관 두 명과 방송통신위원회 과장이 종합유선방송사업자로부터 룸살롱에서 술접대를 받은 뒤 여종업원과 성매매를 한 사실이 밝혀졌다. 또 기획사 사장의 협박으로 유력 인사들을 상대로 술시중을 들고 성접대를 강요당했다는 한 여배우가 자살했다. 서민 전용 조선시대 색주가와 돈과 권력으로 술과 몸을 흥정하려는 현대판 색주가가 비교되는 풍경이다.

김학민 음식 칼럼니스트·blog.naver.com/hakmin8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