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매주 배송받는 자기계발서

등록 2020-06-18 13:04 수정 2020-06-18 13:05
신효숙 제공

신효숙 제공

2년 전, 전남 목포에 살며 공기업에 다니는 신효숙(34)씨는 우연히 이런 말을 들었다. “성공한 사람의 책상에는 정기적으로 배송되는 잡지가 있다.” 때마침 회사 복지포인트 쇼핑몰에서 <한겨레21> 정기구독 할인권을 발견했다. 냉큼 정기구독을 신청했다. 그리고 <21>을 손에 닿는 곳에 두고 읽거나,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싶은 주말 카페에서 읽는다. “읽다보니 너무 좋더라고요. 보통 뉴스에는 지금 이슈 되는 것만 나오는데, <21>에는 생각지 못했던 이슈, 소외된 이슈가 나와서 좋아요.” 신씨는 올해도 정기구독을 갱신했다.

지난 ‘코로나 뉴노멀’ 통권호는 받았나. 배달된 잡지를 쭉 훑어봤는데 코로나19 관련 기사만 쓰여 있더라. 아, 이게 그 통권호구나라고 생각했다. 요즘 업무로 바빠서 다는 못 읽었지만 사무실에 가져와 틈틈이 읽으려 한다. 일주일 만에 만들 수 없는 질 좋은 기사를 묶어낸다면 한 주 건너뛰어도 괜찮겠다 싶었다.

인상 깊게 읽었던 기사는. 목포에서 태어나 살고 있다보니, 목포에서 태어난 사람과 서울 강남에서 태어난 사람의 복지를 비교하는 기사(제1257호 표지이야기 ‘강남생-목포생, 350㎞의 갈림길’)가 기억에 남았다. 같은 시기에 태어났지만 태어난 곳에 따라 시스템이 전혀 다르고 차이가 크게 난다는 사실이 너무 놀라웠다.

지역 균형발전에도 관심이 많겠다. 지금 회사에 다니기 전, 서울 노량진에서 임용고시를 준비한 적이 있는데, 그때 ‘서울 사는 게 스펙’이라는 말에 너무 공감됐다. 취업준비생에겐 정보가 중요한데 지방과 서울은 차이가 많이 난다. 나는 운 좋게 지역에 있는 공기업에 들어갔지만, 국가가 균형발전을 해야 청년들이 지역에서 살며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친구들끼리 ‘목포 남자는 공무원 아니면 볼 게 없다’는 말을 우스개로 하는데, 그만큼 이곳에 기업이 없고 일자리가 없다. 지역에도 좋은 민간 일자리가 생겨났으면 한다.

<21>에 하고 싶은 말이 있나. 늘 보면서 ‘이걸 어떻게 일주일 만에 다 만들었을까’ 하며 놀란다. 나는 공문 몇 줄 쓰는 것도 힘든데, ‘이 몇 장을 쓰기 위해 얼마나 고생했을까’ 생각하며 읽는다.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드린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