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포토스퀘어] 녹슨, 광기의 탄환

대전 동구 낭월동 골령골 주검 250구가 증언하는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등록 2020-12-05 13:48 수정 2020-12-08 11:44
대전 동구 낭월동 13번지 골령골에서 유해와 함께 무더기로 쏟아져 나온 다양한 형태의 탄피와 탄두들. 70년 만에 발굴돼 대부분 부서지고 녹슬어 있다. 총알은 가해자를 특정할 수 있는 증거물이다. 1950년대 군 헌병과 교도소 경비를 맡은 특경대는 엠(M)1 소총, 경찰은 카빈 소총, 그리고 지휘관급 군인은 45구경 권총을 썼기 때문이다.

대전 동구 낭월동 13번지 골령골에서 유해와 함께 무더기로 쏟아져 나온 다양한 형태의 탄피와 탄두들. 70년 만에 발굴돼 대부분 부서지고 녹슬어 있다. 총알은 가해자를 특정할 수 있는 증거물이다. 1950년대 군 헌병과 교도소 경비를 맡은 특경대는 엠(M)1 소총, 경찰은 카빈 소총, 그리고 지휘관급 군인은 45구경 권총을 썼기 때문이다.

“웅크린 채 비스듬히 옆으로 누운 유골이 무시무시했던 학살 순간을 말해주네요.”

2020년 11월12일 대전 동구 낭월동 13번지 골령골.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 발굴에 나선 조사단원이 조심스럽게 붓으로 흙을 쓸어가니 땅속에서 유골이 드러났다. 70년 만에 햇빛을 본 유골은 앞으로 다리를 모아 구부린 채 양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있었다. 1950년 7월 어느 날, 감당하기 어려운 죽음의 공포와 맞닥뜨린 ‘사람’들은 이를 증언하려는 듯 70년 동안 그대로 굳어 있었다. 등에서 녹슨 엠(M)1 소총 탄피가 함께 나왔다. 당시 상황을 직접 본 사람에 따르면, 학살자는 사람들의 등을 군화로 밟고 땅에 엎드린 희생자 뒤통수에 조준사격을 했다.

골령골에서 참혹한 학살이 자행된 ‘죽음의 구덩이’ 중 가장 긴 곳은 무려 100여m로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으로 불린다. 이곳에선 1950년 6월28일부터 수차례 국민보도연맹원과 대전형무소 수감 정치범의 대량학살이 있었다. 충남지구 방첩대(CIC), 제2사단 헌병대, 대전 지역 경찰이 어떤 법적 절차도 없이 최소 1800여 명을 살해하는 일이 벌어졌다. 두 곳의 대규모 집단학살 암매장지를 비롯해 모두 여덟 곳에 주검이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 9월21일부터 50여 일 동안 제1학살지 안 280㎡(14m×20m)를 발굴한 결과 주검 250구가 나왔다. 특정 구역에선 40~50구가 겹겹이 쌓여 서로 엉겨붙은 채 발견되기도 했다. 오랜 시간이 지나 땅속에서 뼈가 부서지고 섞여 형체를 잃어가고 있었다.

발굴된 유해들은 비좁은 매장지 안에서 희생자들이 잔인하게 집단 사살됐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대부분의 주검이 엎드린 상태로 무릎이 접혀 있었다. 뒷머리에 총알 구멍이 뚫린 유골도 여러 구 나왔다. 당시 목격자 증언과 미군이 기록한 학살 사진 속 모습 그대로다. 18살 이하 청소년의 것으로 보이는 치아와 여자의 유골도 여럿 발굴됐다. 여성과 청소년을 가리지 않고 휘두른 전쟁의 광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단원들이 11월12일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암매장지에서 가로 13m·세로 3m의 좁은 공간에 겹겹이 포개지고 뒤엉킨 유골 40여 구를 발굴하고 있다. 발굴단은 이 현장을 3차원 영상 작업으로 복원해 사건을 재현함으로써 그날의 진실을 찾아낼 계획이다.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단원들이 11월12일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암매장지에서 가로 13m·세로 3m의 좁은 공간에 겹겹이 포개지고 뒤엉킨 유골 40여 구를 발굴하고 있다. 발굴단은 이 현장을 3차원 영상 작업으로 복원해 사건을 재현함으로써 그날의 진실을 찾아낼 계획이다.

옆으로 웅크린 채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싼 모습으로 발굴된 유골. 학살 당시의 고통과 공포가 그대로 전해진다.

옆으로 웅크린 채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싼 모습으로 발굴된 유골. 학살 당시의 고통과 공포가 그대로 전해진다.

골령골 학살 때 발목을 잡힌 희생자가 이미 주검이 가득한 구덩이 앞에서 땅에 엎드린 채 카메라 쪽을 바라보고 있다. 미국 극동군사령부 연락장교 애벗 소령이 찍은 사진인데, 재미학자인 고 이도영 박사가 1999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찾아냈다.

골령골 학살 때 발목을 잡힌 희생자가 이미 주검이 가득한 구덩이 앞에서 땅에 엎드린 채 카메라 쪽을 바라보고 있다. 미국 극동군사령부 연락장교 애벗 소령이 찍은 사진인데, 재미학자인 고 이도영 박사가 1999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찾아냈다.

총알 구멍이 뚫린 채 발굴된 두개골.

총알 구멍이 뚫린 채 발굴된 두개골.

18살 이하 청소년의 유골도 여럿 발굴됐다. 거의 마모되지 않은 치아머리와 다 자라지 못한 치아 뿌리로 청소년의 것임을 알 수 있다.

18살 이하 청소년의 유골도 여럿 발굴됐다. 거의 마모되지 않은 치아머리와 다 자라지 못한 치아 뿌리로 청소년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박선주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단장이 골령골에서 발굴된 유골을 조사하고 있다.

박선주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 단장이 골령골에서 발굴된 유골을 조사하고 있다.

좌우 이념 대립 속에 스러져간 국가폭력의 희생자 유가족들은 ‘빨갱이’라는 낙인에 입을 다물어야 했고, 고인의 주검마저 수습하지 못했다. 70년이 지난 2020년 11월20일 대전 골령골에서 유해 발굴 희생자의 봉안식을 마친 유족과 발굴단원들이 유해를 임시 안치 장소로 옮기고 있다.

좌우 이념 대립 속에 스러져간 국가폭력의 희생자 유가족들은 ‘빨갱이’라는 낙인에 입을 다물어야 했고, 고인의 주검마저 수습하지 못했다. 70년이 지난 2020년 11월20일 대전 골령골에서 유해 발굴 희생자의 봉안식을 마친 유족과 발굴단원들이 유해를 임시 안치 장소로 옮기고 있다.

대전=사진·글 김진수 선임기자 jsk@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