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한글날] 삐뚤빼뚤, 엄마 손 잡고 탱고를

소뇌위축증 앓는 엄마 정애영의 손글씨 글꼴 ‘함께 걸어요’에 담긴 딸 지수진의 애틋함
등록 2020-10-10 11:00 수정 2020-10-10 23:08
정애영씨의 젊은 시절 손글씨. 지수진씨 제공

정애영씨의 젊은 시절 손글씨. 지수진씨 제공


‘함께 걸어요’ 글꼴로 작성된 기사를 <한겨레21> 1335호 지면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함께 걸어요’ 글꼴 내려 받는 곳 https://blog.naver.com/clova_ai/221700027837

글을 읽는다. 글자를 본다.
문장을 훑는 숙련된 독자의 안구는 0.2~0.4초 간격을 두고 멎고(보고) 움직이기를 반복한다.(단속성 운동) 그렇게 보는 건 띄엄띄엄 글자 몇 개뿐.(통상 10자 중 3~4자) 본 것을 잇고, 못 본 것을 추정해 의미를 이해한다. 어차피 보지 않은 글자를 차라리 생략해버린다면? 문장은 그저 불완전한 몇 단어의 나열이다. 의미는 사라진다.
이제 잠깐 잡지를 덮고.
방금 본 글자 모양을 떠올릴 수 있을까? 연구 결과는 대부분 그럴 수 없다고 한다. 다만 윤명조130 글꼴로 적힌 <한겨레21> 지면 본문 글꼴이 실수로 뒤바뀐다면? 독자 항의가 빗발칠 수 있다. 글꼴이 바뀐 기사는 이전과 전혀 다른 감정과 생각을 불러일으킬지 모르겠다. 아니, 분명 그럴 것이다.
글을 읽는다. 글자를 본다. 낱낱이 있을 때 알아챌 수 없던 것들이 한데 모여 일상을, 정보를, 생각을 바로 전한다. 세계를 짓는다. 신비한 일이다.
한글날 즈음, 한글꼴 세 개와 거기 얽힌 사람들을 만난다. 비장한 마음으로, 애틋한 마음으로, 따뜻한 마음으로 각자의 글자를 말한다. 둥근 줄기와 가로 줄기와 기둥과 그 사이 공간… 너무 작은, 낱낱이 흩어진 획과 획 사이 어떤 마음은 기어코 전해진다. 또한, 신비로운 일이다._편집자주
참고 문헌: 헤라르트 윙어르 <당신이 읽는 동안>, 요스트 호훌리 <마이크로 타이포그래피>

엄마는 춤추듯 글씨를 썼다. 오랜만에 잡아보는 연필이다. 연필은 손의 흔적을 남길 도구다. 이것은 하나의 시도다. 시도는 엄마한테 중요하다. 구태여 연필과 종이를 챙겨 들고 집을 나섰다. 카페로 나왔다. 거창한 일을 벌이는 듯 요란을 떨었다. 엄마와 딸한테 거창한 일이 맞기는 했다.

가로 8칸 세로 8칸, 한 장에 64칸. 종이 넉 장을 카페 탁자에 놓았다. 다 합치니 256칸이다. 엄마는 막막한 표정이다. 한칸 한칸, 칸에 맞춰 글자를 써넣는 일이 어렵다. 엄마의 손은 흔들리니까. 아니 춤추니까. 연필 끝을 네모 칸 안에 정확히 대는 것부터 쉽지 않다. 삐져나온 글씨가 엄마는 못마땅한 눈치다. 지우개를 쥔다. “지우지 마. 괜찮아.” 말만 할 뿐 돕지 않는다. “못 알아보겠지?” 엄마는 말한다. 자신 없는 표정이다. 옆에 앉은 친구가 고개 젓는다. “엄마 글씨 멋있어. 개성 있어. 상형문자 같아.” 엄마 얼굴에 송글, 땀이 맺는다.

“그렇게 엄마가 256글자를 다 써냈어요. 도움 없이, 혼자, 스스로. 우리끼리 성취감이 대단했어요.” 지수진(31 . 존칭 생략)이 2019년 가을 엄마의 모습을 그리듯 말한다. 지수진은 시각디자이너다. 엄마는 희귀성 난치 질환인 소뇌위축증을 앓는다. 네이버 클로바는 256글자를 적어 보내면, 109명을 뽑아 인공지능(AI) 기술로 손글씨 글꼴을 제작해준다고 했다.(44쪽 상자기사 참조) 뽑히리라 생각하지 않았다. 어떤 ‘ㄱ’은 ‘ㄲ’처럼 보였고, ‘이’자의 닿소리(자음) ‘ㅇ’과 홑소리(모음) ‘ㅣ’ 사이에 정체 모를 점도 찍혀 있다. “제가 봐도 엄마 글자는 사람들이 쓸 만큼 정형화된 글자가 아니었으니까요. 그래도 시도해보는 것 자체가 나와 엄마한테 무척 중요했어요.”

쓰지 않게 된 글씨로 256칸을 채우다

엄마가 소뇌위축증을 진단받은 지 10년 정도 됐다. 몸의 균형 감각을 잃어가는 병이다. 진단받던 날 “죽는 병은 아니에요”라고 의사가 말했다. “점점 삶의 질은 떨어진다”고 했다. ‘점점’의 속도는 저마다 달라 예측하기 어려웠다. 어제보다 오늘이, 오늘보다 내일이 힘들어진다는 뜻인 것만은 분명했다. 퇴행성 질병이라고 했다. 치료법은 없었다.

점점 일상이 사라졌다. “처음부터 갑자기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라, 점점 하나씩 힘들어져요.” 특히 손의 빈자리가 컸다. 혼자 옷을 입기 힘들었고, 수저 드는 것이 어려웠다. 어떤 것은 할 수 없는 일이었고, 어떤 것은 하지 않는 일이었다. 엄마의 손은 명백히 전처럼 청소하거나 밥 지을 수 없다. 글씨 쓰기는 하지 않는 쪽에 가까웠다. “글씨를 전혀 못 쓸 정도가 아닌데도 삐뚤빼뚤해지는 글씨가 엄마 눈에도 보이니까, 그게 싫어서 아예 쓰지 않게 되신 것 같아요.” 소뇌위축증은 자주 우울감을 동반한다. 못하겠고, 안 하고 싶은 것이 하나둘 늘어가며 “집에서 엄마 손의 흔적이 사라지고 있었다”.

일상의 흔적을 지키려는 즐거운 시도가, 그래서 중요했다. 엄마가 의기소침하지 않도록, 지레 포기하지 않도록. “엄마가 즐겁게 사는 모습을 보여줘야 비슷한 병을 가진 사람들도 엄마 보고 힘을 낸다. 사람들이 이 병에 대해서 더 잘 알게 된다”고, 지수진은 엄마한테 의무감을 불어넣었다.

부자연스럽대도 음악 리듬에 맞춰 한발 한발 엄마가 걷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 손글씨 공모전 응모 과정도 찍어 올렸다. SNS 계정 이름은 소뇌위축증의 대표 증상인 ‘아탁시아’(운동실조증)에 춤 ‘탱고’를 더해 ‘아탁시아 탱고 클럽’이라고 지었다. “엄마랑 영화 <여인의 향기>를 같이 봤는데 거기 ‘실수해도 계속 추면 그것도 탱고가 된다’는 말이 나왔거든요. 딱 우리 엄마한테 어울리는 말이잖아요.” 이름 붙이고 보니, 엄마는 정말 애쓰는 게 아니라 춤추는 것 같았다.

건강했던 젊은 시절에 쓴 글씨보다, 병을 앓는 지금 쓴 글씨가 글꼴이 되길 바란 정씨의 생각을 담아 네이버 클로바가 ‘함께 걸어요’ 글꼴을 제작했다. 지수진씨 제공

건강했던 젊은 시절에 쓴 글씨보다, 병을 앓는 지금 쓴 글씨가 글꼴이 되길 바란 정씨의 생각을 담아 네이버 클로바가 ‘함께 걸어요’ 글꼴을 제작했다. 지수진씨 제공


젊은 시절 글씨보다 지금 것이 더 좋은 이유

이런 모습을 보고 네이버 클로바 쪽은 지수진의 엄마 정애영(57)의 글씨를 글꼴로 제작하기로 했다. 나름의 깜짝 선물도 지수진과 함께 준비했다. 정애영이 힘들게 써서 보낸 256글자 대신 젊은 시절 깔끔한 손글씨를 구해 좀더 예쁜 글꼴을 만들기로 했다. 지수진은 엄마가 십대에 필사한 시가 적힌 누렇고 손바닥만 한 공책을 발견했다. ‘생활이 그대를 속이더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적힌 시는 푸시킨의 ‘삶’. “정말 잘 쓴 글씨였어요.”

젊을 때 글씨를 글꼴로 만난 엄마의 반응은 예상과 달랐다. “지금, 아프지만 열심히 쓴 글씨로 글꼴을 만드는 게 더 좋겠다고 하시는 거예요.” 네이버 클로바는 엄마의 지금 글씨를 바탕으로 다시 ‘함께 걸어요’ 글꼴을 만들어왔다. 엄마의 마음이 고맙고 뭉클했다. “엄마가 과거보다 현재에 더 집중하고 있다는 거니까요. 아프지 않은 때랑 지금이랑 비교하는 게 아니라, 지금 시도하면서 즐거웠던 마음이 더 소중했다는 거니까요.” 중요한 건 지금, 내 글씨라는 것이었다. 글꼴을 받아 본 엄마가 글썽였다. “이 글꼴로 뭐 쓰고 싶어?”(지수진) “가계부.”(정애영)

‘흠’이란 것들을 다 안은 글씨

시각디자이너로서 지수진도 엄마를 보며 디자인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다. 디자인은 다수를 위한 것, 실용적이고 효율적이어야 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다. “엄마의 글씨는 디자인 측면에서 보면 효율성이 떨어지잖아요. 가독성도 낮고 대중적이지도 않고요. 효율성을 기준으로 보면 ‘흠’이라서 버리고 가야 하는 것일 수 있어요. 그런데 그런 흠이 어떤 사람들한테는 버릴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번 더 하게 됐어요. 다수가 아닌 사람의 자리에서 새로 봐야 할 것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죠.”

지수진은 주섬주섬 가방에서 “그냥 선물용으로 자체 제작했다”는 메모장을 꺼내 든다. 메모장에 그어진 주황색 선 모양이 삐뚤빼뚤하다. “삐뚤빼뚤해도 계속 써도 된다. 엄마한테 해주고 싶은 말이기도 하고, 사람들한테 해보고 싶은 말이기도 해서요.”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한글날 특집-글 자 꼴 마 음 꼴

http://h21.hani.co.kr/arti/SERIES/2338/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