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출판] 관계망이 죽음의 그물 될 때

등록 2020-07-11 08:07 수정 2020-07-15 00:43

올해로 한국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았다. 동족상잔의 내전이었던 한국전쟁은 참전 군인뿐 아니라 민간인 사망자와 실종자가 최대 200만 명에 이를 만큼 참혹했다. 전투원보다 비무장 민간인 피해가 컸던데다, 단순히 ‘부수적 피해’가 아니라 국가권력과 그것을 뒷배 삼은 세력이 자행한 의도적 학살이 되풀이됐다. 포성이 멎은 지 수십 년이 지나서까지 생존자와 후손의 숨통을 죄고 공동체 결속에 균열을 낸다는 점에서도 그 비극성은 도드라진다.

권헌익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석좌교수(사회인류학)의 <전쟁과 가족>(정소영 옮김, 창비 펴냄)은 한국전쟁 시기 민중이 가족·친족·이웃 같은 관계 공동체 안에서 경험한 전시 폭력의 극단적 위기의 배경과 영향, 그 의미를 분석한다. 지난 3월 영문판이 먼저 나오고 넉 달 만에 우리말 번역본이 나왔다.

한국전쟁은 해방 직후 “남·북한 국가권력이 오직 자신에게 전 민족을 대표하는 통치 권한이 있다는 믿음”에서 “폭력적 수단을 동원해 상대의 주권 주장을 배제하고 단독으로 민족국가를 이루려는 2개의 탈식민 국가세력 사이에 벌어진 내전”이었다. 지은이는 인류학에서 ‘시비타스’(Civitas·영토와 소유에 기초한 시민적·정치적 사회)와 ‘소시에타스’(Societas·사람 간 관계에 기초한 질서)를 구분하는 개념을 빌려와 한국전쟁의 미시적 분석을 시도한다. 정치세력이 무력 충돌한 전쟁 서사와 지역공동체가 기억하는 전쟁 서사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서다.

전쟁이 터지자마자 혈연·지연으로 친밀한 관계망은 서로를 고발하고 목숨을 빼앗는 죽음의 그물로 돌변했다. “가족과 국가 간의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대다수 민간인은 생존의 선택에 내몰렸고 “(수시로) 뒤집히는 충성의 요구에 직면해 ‘순결함’이라는 안전한 구석을 어떻게든 찾아내려 기를 썼다”. 사례는 차고 넘친다.

소설가 박완서(1931~2011)도 그랬다. 작가의 오빠가 전쟁 전에 진보적 좌익 지식인 운동에 참여했던 “빨갱이 짓”은 “그와 가족에게 재앙을 불러올 확실한 표시”였다. 어머니의 끈질긴 만류로 좌익운동을 단념했지만 ‘사상 세탁’의 증거로 보도연맹에 가입해야 했다. 전쟁이 터지자 오빠는 인민군 의용군에 징집됐고, 작가는 가족의 생존을 위해 반공청년단에 들어가야 했다. 그렇게 목숨을 건진 게 천운이었지만, 운이 따르지 않은 이가 훨씬 많았다. 전쟁 당시 역사학자 김성칠은 일기에 “이 땅의 ‘백성질’ 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라고 탄식했다.

지은이는 민간인 학살, 불온한 공동체(정치적·이념적 배제 집단), 분쟁 중 평화, 연좌제, 도덕과 이념, 소리 없는 혁명(유족들의 기억 투쟁과 공론화) 등을 두루 살핀 뒤, “산 자들이 정치적 두려움 없이 고인을 추모하고 애도할 수 있는 권리의 회복”이 진정한 평화를 향한 긴 여정의 시작이라고 강조한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21이 찜한 새 책>

몸젠의 로마사 5

테오도르 몸젠 지음, 김남우·성중모 옮김, 푸른역사 펴냄, 2만원

독일 역사학자 몸젠의 역작 <로마사>(전 4권 6책)를 10권으로 나눠 내는 번역본의 제5권. ‘혁명: 농지개혁부터 드루수스의 개혁 시도까지’(부제) 기원전 2~1세기 로마의 위기 시대를 다룬다. 독일 최초의 노벨문학상(1902년) 수상작. 학술 가치뿐 아니라 인문교양서로 뛰어나다.


김영란의 헌법 이야기

김영란 지음, 풀빛 펴냄, 1만6천원

김영란 전 대법관이 동서고금 헌법의 역사와 의미를 친근한 문답형 서술로 설명한다. 고대 그리스의 민주시민 교육 현장이던 연극부터 12세기 영국 대헌장, 18세기 프랑스혁명을 거쳐 근현대와 대한민국 헌법까지 ‘인간의 권리를 위한 투쟁의 역사’(부제)를 쉽고 풍성하게 담았다.


신화의 미술관-올림포스 신과 그 상징 편

이주헌 지음, 아트북스 펴냄, 1만9천원

미술평론가 지은이가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수많은 신의 이야기와 그것을 회화와 조각상으로 재현한 서양 미술작품을 짝지어 흥미진진한 신화의 세계로 안내한다. 대부분 르네상스 이후 그림으로, 예술적 풍미를 감상하기 맞춤하다. 후속편 ‘영웅 이야기’도 출간 예정.


나는 위안부가 아니다

안세홍 사진·글, 글항아리 펴냄, 1만9천원

사진작가인 지은이가 ‘아시아의 일본군 성노예 피해 여성 21인의 목소리’(부제)를 이제는 할머니가 된 당사자들의 사진과 구술 기록으로 담았다. 한국·중국 등 아시아 5개국 피해자들은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딛고 “너희가 부끄러운 거지 우리가 창피한 게 아니다”라고 말한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