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내가 ‘생리충’이 아니듯 그녀도 ‘내시’가 아니다

월경 혐오와 성별 이분법
등록 2020-03-07 15:10 수정 2020-05-02 19:29
일러스트레이션 조승연

일러스트레이션 조승연

월경에 대해 쓰기 싫었다. 거부감이 올라왔다. 그래서 쓰기로 했다. 30년간 인생의 20%는 피 흘리며 보냈다. 없는 일인 척했다. 안 새면 그만이지 내 몸에 맞는 생리용품 따위는 찾아보지도 않았다. 사소한 일일까? 월경을 향한 혐오는 내 몸을 향한 혐오와 맞닿아 있다는 걸 절감한다. 내 몸에 있는 질을 남의 것인 양 여겼다. 에어비앤비 방처럼 남에게 내줄 공간 취급 했다.

트럼프 “그녀의 눈에서 피가 나오는 듯”

14살 때 초경은 불안한 침묵으로 기억한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했다. 휴지를 둘둘 말아 끼고 어기적 걸으며 이 ‘사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민했다. 내가 냄새나는, 눅눅한, 그런 사람이 된 듯 수치스러웠다. 중학교 2학년인 내가 본 ‘여자’는 닭은 삶아야 하지만 닭다리를 차지할 권리는 없는 사람이었다. 딸만 둘인 집인데 여동생, 엄마하고 한 번도 월경에 대해 말한 적이 없다.

고희 넘은 엄마에게 처음 물었다. 고1 때 첫 월경을 한 엄마는 꽁꽁 언 손과 함께 그날을 기억한다. 내복이나 이불 홑청을 찢어 처리했다. 할머니가 눈치채고 광목 접는 방법을 알려줬다. 밤에 식구들이 다 잔 걸 확인하고 마당으로 나왔다. 겨울, 달만 두둥실 뜬 밤 엄마는 죽어라 펌프질을 했다. “손이 찢어질 거 같았어. 내놓고 말리지도 못했어.” 딸이 넷인데 월경이 겹치는 날엔 서로 마주치지 않으려고 밤마다 눈치작전을 벌였다. “그게 왜 그렇게 창피했는지 몰라.” 엄마는 여전히 월경을 ‘그거’라고 부른다.

죄, 독, 오염… 월경 혐오는 역사가 유구한데 읽다보면 재밌을 지경이다. 기상천외하다. 8세기 연금술사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책 에서 월경혈의 오염이 여성의 눈으로 스며나온다고 썼다. 그 비슷한 말을 2015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 후보가 자신에게 공격적인 질문을 던진 여성 진행자를 향해 비꼬며 했다. “그녀의 눈에서 피가 나오는 것 같더군요. 어쩌면 몸의 다른 곳에서 나오는 것이었을지도 모르죠.” 월경혈은 ‘죄의 증거’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에 성모마리아는 ‘불경한 피’ 없이 예수를 잉태했다고 주장했다. 8~12세기에는 월경 중에 교회 출입도 못했다. 2003년 임태득 목사는 총신대 채플 시간에 이렇게 말했다. “어디 기저귀 찬 여자가 강단에 올라와.”

월경은 ‘불결하다’. 1990년대부터 생리대 광고에 가장 많이 나오는 낱말은 ‘순수’ ‘깨끗’ ‘하얀’ 따위다. 그 생리대를 써야 ‘깨끗’해지니 원래 월경은 그렇지 않다는 전제를 깐 셈이다. 여자는 인간과 동물 그 중간계인데 그 증거는 월경이란다.

‘생리충’. 월경을 다룬 다큐멘터리 를 만든 김보람 감독은 기사에 달린 악플 중에서 이 낱말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고 책 에 썼다. “이 단어가 주는 모멸감을 여성인 나 자신과 분리해 생각할 수 없었다.”

월경 혐오는 인간을 생물학적 남성/여성으로 구분하고 남성을 이성이자 문화, 여성을 몸이자 자연으로 묶는 이분법에 뿌리내리고 있다. 박이은실은 책 에서 “이런 이분법은 자연이 문명에 지배되는 것처럼 성차에 따른 차별을 강화한다”고 썼다. 이 책에서 소개한 연구 결과들을 보면, 성별 역할이 뚜렷이 구분된 곳일수록 월경 혐오는 도드라졌다.

13세기 유대인 혐오에 동원되다

이 이분법에 따른 혐오는 왜 나왔나? 인간이 필연적으로 지닌 유한성과 동물성을 투사할 타자가 있어야 자신은 그렇지 않은 존재로 여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마사 누스바움은 책 에서 분석했다. 타자에게 뒤집어씌우고 손가락질해 자신의 불안을 잠재우는 방식이다. 그 대표적인 혐오 투사물이 여성의 몸이고 월경이다. 염운옥의 책 을 보면, 13세기부터 유대인 혐오에 월경이 동원됐다. 유대인 남성은 매달 피를 흘린다는 속설이 퍼져나갔다.

그 이분법이 내 몸에 스며 30년간 피 흘리는 내 몸을 혐오했다. 그런데 적어도 나는 세상이 생물학적 남성과 여성으로 이뤄졌다는 이분법에 타자로라도 낄 수 있었다. 내 법적 성과 내가 느끼는 성이 같아 주민등록번호를 써야 하는 그 수많은 순간마다 별 고민 없이 적었다. 이런 편안함도 상대적 특권이다.

할머니부터 나까지 대대로 월경에 침묵하게 한 성별 이분법은 존재 자체를 지워버리기도 한다. 세상은 생물학적 남성과 여성으로 이뤄져야만 하니, 바로 여기 있는 사람을 없다고 한다. 존재 자체가 틀렸다고 한다. 환장할 노릇이다.

이혜민, 김승섭 등은 논문 ‘한국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 관련 경험과 장벽’에서 2017년 미국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트랜스젠더 인구를 20만1377명으로 추산했다. 이 ‘보여선 안 되는’ 20만 명은 자신을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학교에서, 직장에서 쫓겨난다. 잠재적 범죄자 취급을 당하며 온갖 혐오의 말을 뒤집어쓴 트랜스젠더 숙명여대 합격생은 입학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누구의 안전이 위협당했나? 여성이 ‘생리충’이라 불려선 안 되듯, 같은 이분법의 피해자인 트랜스젠더가 ‘내시’로 불려선 안 된다. 남성이 여성을 향해 뱉은 ‘생리충’이 혐오이듯, 그 누구건 트랜스젠더를 향해 뱉은 조롱도 혐오다.

나의 눈으로 나의 몸을 볼 때

“각자의 상황대로, 각자의 존재대로 들려오는 그 목소리를 직접 듣자. 그리고 그대로 존재하게 하자. let it be.” 박이은실은 책 을 이렇게 마무리했다. 다큐멘터리 를 만들며 월경에 대한 수많은 경험과 자료를 취재한 김보람 감독은 어느 날 자기 가슴을 있는 그대로 봤다. 항상 작아서 부끄러웠던 가슴이다. “나는 평소처럼 샤워를 한 뒤 세면대 앞에서 물기를 닦고 있었다. 그러다 문득 거울에 비친 내 몸을 바라보았다. 그날 나는 무언가 달라진 것을 알아차렸다. 가슴은 여전히 작았다. 영화를 만들고 편집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아선지 더 작아 보였다. 그런데 나쁘지 않았다. 심지어 개성 있어 보였다. (중략) 아마 생리컵을 쓰면서 자기 몸과 친해져 남의 시선으로만 바라보던 몸을 본인의 시각으로 보게 된 것일지 모른다.”

한국에서 생리대가 판매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광고에서 월경혈은 파란색이었다. 지난해에야 빨간 피가 등장했다. 이제야 내 피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폐경 아니 완경이 코앞이다.

김소민 자유기고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