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나랑 인드라망으로 연결된 걸까

스무 번 넘게 방문한 교토, 눈 감으면 그곳의 햇빛이 떠오르네
등록 2020-01-25 03:11 수정 2020-05-02 19:29
내가 사랑하는 교토만의 에너지가 있다.

내가 사랑하는 교토만의 에너지가 있다.

5년 전부터 매년 5월 필리핀 세부로 가족여행을 갔다. 정확하게는, 세부에 있는 ㄱ리조트를 갔다. 세부 국제공항에 도착해 셔틀버스로 리조트에 들어가면 귀국 비행기를 탈 때가 되어서야 다시 밖으로 나올 때가 많았다.
리조트는 세 식구가 각자 가장 중시하는 ‘여행의 필수조건’에 부합했다. 어린 딸은 리조트에 딸린 야트막한 해변에서 종일 물놀이를 했다. 남편은 수준급 시설인데 제주도 호텔 절반도 안 되는 숙박비에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도)를 느꼈다. 피로한 나는 리조트 밖으로 한 발짝도 나갈 필요가 없는 ‘올 인클루시브’(모든 것이 포함됨) 하나면 그만이었다.
사실 야트막한 해변, 가심비, 올 인클루시브를 충족하는 곳은 너무 많다. 그런데 왜 ㄱ리조트였을까. 체력이 호기심을 못 따라가는 나이, 부부의 여행 무게중심이 ‘미지의 장소에 대한 설렘’에서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으로 급격히 이동하던 찰나, 세 식구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그곳을 발견했다는 설명이 가장 사실에 부합한 것 같다.
편안하자고 하면 집에서 쉬면 되지 않는가. 김영하 소설가는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호텔은,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집이 아니다. 어떻게 다른가? 집은 의무의 공간이다. 언제나 해야 할 일들이 눈에 띈다. 설거지, 빨래, 청소 같은 즉각 처리 가능한 일도 있고, 큰맘 먹고 언젠가 해치워야 할 해묵은 숙제들도 있다.”() ‘책꽂이에 꽂혀 있는 책들’은 미루고 있는 일을 떠올리게 하고, ‘집안의 상처’는 집안 사람들에게 해준 뼈아픈 말들을 떠오르게 한다. 그렇게 전쟁처럼 집을 마련해놓고는, 집에서는 쉴 수가 없다.
김정운 문화심리학자는 전남 여수에 마련한 작업실 ‘미역창고’에서 를 썼다. 그는 책에서 ‘슈필라움’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에드워드 홀의 ‘공간학’에서 빌려온 이 단어는 ‘자기다움을 찾을 수 있는 최소공간’을 말한다. 몇 명은 여행지에서 슈필라움을 찾은 것 같다. 그곳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나로 살 수 있다.
그 낯선 여행지에는 낯선 것이 하나도 없다. 장인숙씨는 그날그날 즉흥적으로 가게를 가지만 다 엇비슷하다. 14년째 여름이면 같은 곳으로 가는 김미경씨나 매년 여름엔 만리포, 겨울엔 평창을 가는 김송은씨나, 공간적으로 같은 여행지가 지난해와 똑같지 않다. 만나는 가족의 아이는 나이 들어가고 펜션의 개와 점점 친해진다. 기선 만화가는 우주가 관망하는 인연의 끈이 여행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떠나도 그리운 그곳, ‘도돌이표 여행’ 얘기를 따라가보자.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교토라는 도시에 처음 관심 갖게 된 건, 영화 때문이었다. 밴드 에어(Air)의 몽환적인 (Alone in Kyoto)를 배경음악으로, 스칼릿 조핸슨이 징검다리를 건너는 장면을 보고(그곳이 헤이안신궁이라는 건 한참 나중에 알게 되었다), 나중에 일본에 가면 꼭 저 도시에 가봐야겠다고 생각했다.

2013년 처음 교토에 도착했을 때, 교토역에서 내려 숙소까지 가면서 본 풍경은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4~5일 짧은 여행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 말 그대로 ‘앓기’ 시작했다. 1~2주 정도 매일 밤 꿈에 교토가 나왔다. 그 뒤로 어떻게든 여건만 되면 짐을 싸서 교토에 다녀오길 벌써 6년여, 그동안 교토에 다녀온 횟수는 스무 번이 넘으니 그야말로 교토 미치광이, 좋게 말해서 교토 덕후라고 할 수 있겠다.

처음 열 번까지는 그곳에 머무는 1분 1초가 새로웠다. 줄 서는 시간이 아까워 유명한 맛집이나 랜드마크는 일부러 피할 정도로 탐욕스럽게 돌아다녔다. 새벽같이 출발해서 지쳐 쓰러지기 직전에야 숙소에 돌아오곤 했다. 다음날 컨디션을 생각해서 술 같은 건 입에도 대지 않았다. 방문 열다섯 번이 넘어갈 때쯤에야 비로소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고 할까, 욕심부리지 않고 느긋하게 돌아볼 수 있게 되었다.

교토의 어떤 점에 끌렸는가, 하는 질문에 딱 부러지게 설명하기는 힘들다. 화려한 볼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버스 정거장 수만큼 유적지가 엄청나게 많지만), 입이 떡 벌어지는 자연경관이 있는 것도 아니다(단풍과 벚꽃 계절 풍경이 어마어마하지만). 외국 쇼핑에 최적화돼 있지도 않고(우아하고 사랑스러운 교토 특산품과 먹거리는 아무리 사도 모자라지만) 교통이 불편하지만(대신 걷기 좋은 길이 끝없이 펼쳐졌지만) 오랜 시간 소중하게 잘 가꾸고 보살펴서 멋스럽게 나이 든 도시 특유의 그윽한 정취, 하나의 유기체처럼 도시 전체가 공유하는 분위기, 철학 그리고 독보적인 아름다움, 그것만큼은 확실히 말할 수 있다. 교토는 아름다운 곳이다.

물론 모든 순간이 늘 만족스러울 수 없는 법. ‘교토는 이제 질렸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그러다가도 어느 날 문득, 일하거나 밥을 먹거나 친구들과 길을 걷다가도, 뜬금없이 떠오르는 교토의 이미지, 교토 냄새, 교토 하늘, 교토의 맨홀 구멍 같은 사소한 것에 견딜 수 없이 그리운 마음이 들곤 했다.

불교에서 생각이란 자기가 원해서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인간의 지성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우주의 인드라망을 타고 인연이 생겨나 떠오르는 것, 그것이 우리의 생각이고 감정이고 나아가 세계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체 교토의 무엇이 이토록 나를 미치광이처럼 끌어당기는 것일까. 알 수 없는 일이다. 무의식이 형성되던 유년기에 어떤 계기로 강렬한 교토의 이미지가 뇌리에 각인됐을 수도 있다. 전생에 교토에서 살았을 수도 있고, 교토의 초능력 조직에 텔레파시 조종을 당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하여간 한 가지 확실한 건, 교토만이 발산하는 어떤 에너지가 있고 나는 온 마음을 다해 그것을 사랑한다는 것이다. 처음 방문했던 6년 전과 같이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나는 여전히 교토의 꿈을 꾼다. 이노다 카페의 햇빛 드는 창가에서 맛보는 달콤한 안미쓰(팥과 흑설탕으로 만든 디저트), 니시진의 주택가 골목에서 풍기는 밥 짓는 냄새, 이끼로 가득한 산젠인의 고요한 정원, 그 연못 안을 그윽하게 비추는 5월의 햇빛과 붉은 잉어들….

글·사진 기선 만화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